1. 함수 컴포넌트 내 코드 실행
함수 컴포넌트 내에서 선언된 변수, 상태(State), 이벤트 핸들러 등의 코드가 실행됩니다.
useState로 선언된 상태가 초기화되고, 다른 일반적인 JavaScript 코드가 실행됩니다.
2. Return문 실행:
return 문을 통해 JSX가 렌더링되고, 이를 통해 Virtual DOM이 업데이트됩니다.
이때, JSX 내에서 중괄호 {}를 사용하여 JavaScript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,
이 부분도 함수 컴포넌트 내의 코드 실행으로 간주됩니다.
3. useEffect 실행:
useEffect 훅은 컴포넌트의 렌더링이 완료된 후에 실행됩니다.
useEffect 내에서 비동기 작업, 데이터 가져오기, DOM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useEffect는 렌더링 후 실행되기 때문에 DOM 요소에 대한 참조나 상태 변경 등을 수행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
따라서 코드는 상단부터 차례대로 실행되며,
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이 완료된 후에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인 동작입니다.
'✍️ 스파르타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sparta 69일차 - 최종 프로젝트 진행 중, 튜터님 피드백 (0) | 2024.01.11 |
---|---|
[TIL] sparta 67일차 - 최종 프로젝트 3 (0) | 2024.01.08 |
[TIL] sparta 65일차 - 최종 프로젝트 시작 (0) | 2024.01.04 |
[TIL] sparta 59일차 - 첨부파일 이미지 미리보기 (0) | 2023.12.27 |
[TIL] sparta 58일차 - Next.js 사용해보기 (0) | 2023.12.26 |